본문 바로가기
공모주

프로티나 공모주 수요예측결과

by ipo stock 2025. 7. 18.
반응형

프로티나 공모주가 2025년 7월 18일, 21일 청약을 진행합니다. 확정공모가 14,000원으로 결정되어 총 210억 원을 조달하며, 기관투자자 경쟁률이 1,199.2 대 1을 기록했습니다.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PPI) 분석 전문기업인 프로티나 수요예측결과, 청약일정, 상장일, 사업내용, 재무현황 등 투자 관련 핵심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했습니다.

프로티나 공모주 수요예측결과
프로티나 공모주 수요예측결과

프로티나 공모주 청약 일정

프로티나 공모주 청약 일정

1. 청약일

일반투자자: 2025년 7월 18일(금) ~ 7월 21일(월) (2일간, 08:00~16:00)

2. 배정 및 환불일

배정공고일: 2025년 7월 23일(수)
환불일: 2025년 7월 23일(수)

3. 상장일

상장예정일: 2025년 7월 29일(화)

4. 확정 공모가 (희망공모가)

희망공모가: 11,000원 ~ 14,000원
확정공모가: 14,000원

5. 주관사

주관사: 한국투자증권

6. 최소청약수량 및 증거금

최소청약수량: 50주
청약증거금: 350,000원

 

프로티나 수요예측결과

프로티나 수요예측결과

1. 기관경쟁률

전체 기관투자자 경쟁률: 1,199.2 대 1
수요예측 참여수량: 13억 1,870만주
기관투자자 배정물량: 109만 9,650주

2. 참여건수

총 참여건수: 2,342건
국내기관투자자: 2,179건
해외기관투자자: 163건

3. 의무보유확약

의무보유확약 : 8.11%

미확약: 12억 1,172만 주
15일 확약: 3,469만 주
1개월 확약: 2,276만 주
3개월 확약: 3,990만 주
6개월 확약: 962만 주

4. 공모규모(공모주식수, 공모금액)

공모주식수: 150만 주
공모금액: 210억 원

5. 상장 후 시가총액

상장 주식수: 1,078만 4,365주
상장 후 시가총액: 약 1,510억 원 (14,000원 기준)

6. 상장일 유통가능 물량

유통주식수: 339만 5,753주
유통금액: 약 475억 원
전체주식 대비 비율: 31.49%

 

최소청약, 일반청약 한도

최소청약, 일반청약 한도

1. 한국투자증권 청약한도

  • 일반 등급: 6,000주 (50%)
  • 준우대 등급: 12,000주 (100%)
  • 우대 등급: 24,000주 (200%)
  • 최고우대 등급: 36,000주 (300%)

2. 청약 단위

한국투자증권 청약단위
한국투자증권 청약단위

 

프로티나 사업내용 3가지

프로티나 사업내용 3가지

1. PPI PathFinder 바이오마커 분석 솔루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PPI) 분석 기술을 활용한 바이오마커 발굴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글로벌 제약사 대상 신약개발 전주기 분석솔루션으로 차별화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PPI Landscape 항체 개량 서비스

고속 스크리닝 기술을 통한 항체 최적화 및 개량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I 기반 항체 신약 설계 플랫폼을 개발하여 항체 신약 개발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3. SPID Platform Systems 기기 사업

독자적인 단분자 단백질 상호작용 측정(SPID) 기술이 구현된 분석 기기 및 반응칩을 제품화하여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플랫폼 기술의 확산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손익계산서 및 내용

1. 손익계산서

구분 2023년 2024년
매출액 5.8억 원 23억 원
영업이익(손실) -73억 원 -91억 원
당기순이익(손실) -228백만원 -57억 원

2. 손익계산서 내용

2024년 매출액은 23억 원으로 전년 대비 298% 증가했습니다. 글로벌 제약사와의 계약 확대와 PPI Landscape 사업 출시로 매출이 크게 성장했습니다.

영업손실은 -91억 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사업 확장에 따른 것입니다. 2024년 연구개발비는 57.8억 원으로 매출액 대비 251% 수준입니다.

 

프로티나 공모주 장단점

프로티나 공모주 장단점

1. 장점 3가지

1) 글로벌 제약사 고객 확보

글로벌 Top 10 제약사 2곳을 포함한 주요 제약사와 계약을 체결하여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했습니다. 제약 산업의 보수적 특성상 기존 고객사와의 지속적 거래가 예상됩니다.

2) 독자적 기술력 보유

단분자 수준의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기술(SPID)을 자체 개발하여 기술적 차별화를 이뤘습니다. 기존 분석법 대비 높은 민감도와 정확도를 구현했습니다.

3) 성장 시장 진입

단백체 분석 시장은 2023년 315억 달러에서 2034년 1,454억 달러로 연평균 14.9% 성장이 예상됩니다. AI 신약 개발 시장도 연평균 29.9% 성장이 전망됩니다.

2. 단점 3가지

1) 높은 연구개발비 부담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가 251%로 업종 평균 1.11% 대비 매우 높습니다.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인한 높은 비용 구조가 수익성 개선에 부담이 됩니다.

2) 시장 침투 지연 위험

제약 산업의 보수적 특성상 신기술 도입에 5-10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기존 검증된 방식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시장 확산이 예상보다 느릴 수 있습니다.

3) 경쟁 심화 가능성

Quanterix, Olink Holdings 등 글로벌 경쟁사들이 유사 기술을 상용화하고 있어 시장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습니다. 규모의 경제를 확보한 경쟁사들이 가격 경쟁력을 앞세울 위험이 있습니다.

 

결론

프로티나 수요예측결과와 공모주 청약 정보

프로티나 수요예측결과와 공모주 청약 정보를 살펴보았습니다. 프로티나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서 독자적인 SPID 기술과 글로벌 제약사 고객 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기관투자자 경쟁률 1,199배를 기록하며 높은 관심을 받았으나, 높은 연구개발비 부담과 시장 침투 속도가 우려 요소입니다. 단백체 분석 시장의 성장성과 AI 신약 개발 트렌드는 긍정적이지만, 제약 산업의 보수적 특성과 경쟁 심화 위험을 고려한 신중한 투자 판단이 필요합니다. 프로티나 공모주 청약에 좋은 결과있기를 바랍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

 

 

엔알비 수요예측결과 및 공모주 청약 정보

엔알비가 2025년 7월 17일부터 18일까지 공모주 청약을 진행합니다. 확정공모가 21,000원으로 결정되어 총 441억 원을 조달하며, 기관투자자 경쟁률이 800.83 대 1을 기록했습니다. 모듈러 건축 전문기

ipo.asubsidy.com

 

 

뉴로핏 균등배정 수량, 비례경쟁률, 청약마감 결과

뇌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뇌질환의 치료의료기기 술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인 뉴로핏의 청약이 마감되었습니다. 7월 15일부터 16일까지 청약이 진행되었습니다. 뉴로핏의 비례경쟁률은 3,845.5

ipo.asubsidy.com

 

 

공모주 청약 준비 가이드 – 계좌 개설부터 청약 전략까지

최근 IPO(기업공개) 시장이 활기를 띠며 공모주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시세차익을 노릴 수 있는 매력적인 투자 방식이지만, 사전 준비가 부족하면 좋은 기회를 놓치기 쉽습니다

ipo.asubsidy.com

 

반응형